드라마 ‘오징어게임’이 세계 곳곳에서 인기다. 어린 시절 놀이를 승자 독식 데스매치와 접목시켜 시장경쟁체제와 능력주의에 대한 비판을 가해 전 세계적 공감을 얻었다고 평가받고 있다. 인기에 힘입어 외국에서도 드라마 속에 등장했던 놀이를 따라하거나 패러디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고 한다. 그런데 아쉽게도 한국 어린이들은 막상 이런 골목놀이를 즐기기 어렵다.

일단 오징어를 그리고 놀 수 있는 넓은 공터가 없다. 개발 물결로 작은 공터조차 건물이나 도로가 장악했다. 학교 운동장은 안전관리를 이유로 잘 개방하지 않는다. 공원도 특정운동만 가능한 시설로 꽉 차 있다. 그나마 사회체육시설이나 녹지조차 없는 지역도 부지기수다. 설상가상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 때문에 또래끼리 어울리는 것도 쉽지 않다. 이래저래 최악의 상황이다

이 때문에 2016년에 세계보건기구가 11~17세 학생들의 신체활동량을 비교한 통계를 보면 한국은 운동 부족으로 분류된 학생 비율이 94.2%나 됐다. 조사 대상 146개국 중 가장 높은 수준이다. 70%를 상향하는 나라들이 대부분 우리보다 가난한 나라였다는 점을 보면 자원배분 문제가 아니라 자라나는 세대가 충분히 뛰어놀 수 있는 활동량에 우리 사회가 얼마나 무관심한지 알 수 있다. 이런 무관심에는 물론 공간뿐 아니라 과도한 학업경쟁과 학력주의가 자리잡고 있다. 어처구니없게도 공교육에서도 체육활동시간이 줄어들었다.

결과는 청소년 비만율 급증이다. 가공식품 같은 먹거리문제도 있지만 운동량 부족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우선 식이습관만으로는 비만 문제를 해결할 수 없고, 약물 같은 의학적 접근은 최후의 수단이어야 한다. 하지만 지금 수없이 존재하는 ‘비만클리닉’을 보면 딱하기만 하다. 과도하게 마른 체형을 강요하는 외모지상주의도 문제지만, 어린 시절부터 적절한 운동과 신선한 먹거리를 공급하는 해결 방안을 외면하기 때문이다.

어린 시절부터 운동을 등한시하고, 책상 앞에서 수학 문제만 풀게 한 결과가 ‘비만’인데, 이제는 이 비만을 치료해야 할 질병으로 만들어 의료상품만 판매하는 상황은 병 주고 약 주는 꼴이 아닐 수 없다. 그리고 그 약은 효과도 일시적이란 점에서 기만적이다.

사회적 조건은 무시하고 보건의료서비스 대상화를 통해서는 시민 건강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수많은 의사들이 ‘비만’ 치료에 매진하고 있는 것 자체가 불필요한 의료상품화 조장이다. 살을 빼 준다는 각종 보약 광고가 난무하는 사회는 결코 시민들이 건강하게 살 수 있는 곳이 아니다.

결국 ‘오징어게임’을 유행시키고도 막상 골목놀이 한번 제대로 할 수 없는 나라를 바꾸는 게 먼저다. 운동은 헬스장, 태권도장에서 하는 게 아니고 공공교육과 지역사회에서 또래와 어울려 할 수 있어야 일상이 될 수 있다. 학령기 신체활동은 체육전공자들만 키우는 게 아니라 시민의 기본권으로 보장해야 한다.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11019029011

재활의학과를 찾는 외래 환자가 가장 많이 호소하는 건 각종 근골격계 통증, 그중에도 단연 허리통증이다. 그런 환자들에게 무릎관절에 특별한 문제가 없다면 달리기를 하라고 권하곤 한다.

사람이란 애초에 달리는 동물인 만큼 주기적으로 필요한 움직임이라는 건 생물학적, 진화론적 차원에서도 합당하다. 하지만 환자들은 물론이고 달리기를 꾸준히 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달리기를 시도하다 좌절하는 이유가 많은데 환경요인이 가장 크다.

우선 달릴 공간이 마땅치 않다. 해외 영화나 드라마에 나오는 조깅을 할 만한 공원이 우리에게는 거의 없다. 바람을 맞으며 달릴 수 있는 환경조차 쉽지 않은 게 우리네 현실이다. 실내체육시설 러닝머신은 코로나19로 이용하는 게 사실상 불가능하다.

달리기를 바라보는 잘못된 시선도 한 원인이다. 일상생활에서 달리기를 하기에는 신경 쓰이는 게 여러 가지다. 출퇴근하면서 지하철까지 혹은 몇 킬로미터를 달리는 것은 복장 문제도 있고, 제한적이다. 하지만 건강과 기본적인 근골격계 유지를 위해 달리기를 출퇴근 시간 등 일상에 병용할 수 있는 문화가 퍼진다면 운동 부족을 피할 수 있는 좋은 방편이 될 것이다. 그런 점에서 이제 평상복을 입고 달리는 것에 대해 삐딱한 시선을 거두면 좋겠다.

잘못된 스포츠산업화 문제도 빼놓을 수 없다. 달리기 같은 기본적인 운동조차도 달리기용 복장, 신발 같은 도구를 갖추고 러닝머신에서 체계적으로 시작해야 한다는 식으로 생각하는 이들이 많다. 그런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엉터리 상업정보 영향이 크다.

사실 달리기는 가볍게 자신이 견딜 수 있는 수준으로 시간을 늘려 가면서 실천만 하면 된다. 생활 속에서 달리기를 하는데 굳이 전용 신발을 살 필요도 없다. 등산 초심자가 고어텍스 전문 등산복을 구매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것과 같다.


누구나 어디서나 언제라도 할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운동인 달리기조차 제대로 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국민건강은 먼 나라 얘기가 될 수밖에 없다. 우리 아이들이 공교육에서도 달릴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는 염려가 크다. 사교육 운동프로그램에 앞서 기초체력인 달리기를 하는 것에 의미를 두는 것부터 변화를 모색해야 한다.

물론 늘어나는 미세먼지와 전국적으로 창궐하는 코로나19는 달리기를 맘 편하게 하지 못하게 하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코로나19나 미세먼지와 관련해서도 그나마 실내스포츠에 비한다면 야외 달리기는 충분한 거리를 두고 마스크를 착용한다면 안전한 운동이다.

덤으로 달리기를 하면 심리적, 정서적 기분을 고양시킨다. 코로나19라고 해서 실내에만 머물러 있을 수도 없는 노릇 아닌가. 의학적으로 엉덩이근육, 허리근육을 강화하고 올바른 자세 유지에 심폐지구력을 갖출 수 있고, 무엇보다 인간으로서의 기본적 움직임을 통해 여러 균형점을 찾을 수 있다. 달리기를 허하라.

 

2020-12-08 29면

 

https://www.seoul.co.kr/news/newsView.php?id=20201208029011

+ Recent posts